2025.07.11 (금)

  • 흐림춘천 26.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구름조금창원 31.2℃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순천 30.7℃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많음구미 32.0℃
기상청 제공

강릉시 전통어업 창경바리,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재조명

강릉시, 보전과 활용 아우르는 관리사업 본격화

 

뉴스포원(NEWSFOR1) 윤경덕 기자 | 강릉시는 지역의 전통 어업방식인 ‘창경바리어업’을 체계적으로 보호‧계승하고, 이를 지역 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기 위한 국가중요어업유산 관리사업을 올해부터 본격 추진한다.

 

‘창경바리어업’은 유리를 끼운 나무틀인 창경(窓鏡)을 통해 바닷속을 관찰하며, 미역 등 해조류와 성게, 해삼 등 정착성 어종을 채취하던 전통 어업 방식이다.

 

조선시대 함경도에서 유래해 1970년대 말까지 동해안 전역에서 성행했으나, 현재는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과 심곡 어촌계 등 일부 지역에서만 그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세 번의 도전 끝에 ‘창경바리어업’은 강원특별자치도 최초로 지난 2024년 12월 해양수산부로부터 국가중요어업유산 제14호로 지정됐으며, 강릉시는 2025년 5월 제1회 추가경정예산 1억 원 확보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3년간 총 7억 원(국비 70%, 도비 15%, 시비 15%) 규모의 관리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본 사업의 신속하고 원활한 추진을 위해, 지난 4월 한국어촌어항공단 동해지사와 위‧수탁 협약을 체결했으며, 공단은 올해 1억 원의 예산으로 사업의 방향성과 실행 전략을 담은 기본계획 수립을 7월에 착수할 예정이다.

 

강릉시는 기본계획에 '보전'과 '활용'이라는 양대 전략 축을 통해, 전통의 계승과 현대적 가치 제고라는 목표를 함께 실현하는 구조로 체계화하여, 과거를 단순히 지키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 어촌의 미래 경쟁력으로 확장하는 데 중점을 둘 방침임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강릉시는 이를 위해, '전통의 보호와 계승: 뿌리를 지키는 기반 다지기'를 목표로 창경, 낫대 등 전통 어구를 복원‧전시하고, 전통 떼배는 새롭게 제작해 어업유산의 현장감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한, 어업인을 위한 기술 전수 매뉴얼(영상 및 책자)과 시민 대상 교육 영상을 제작해 전통 어업에 대한 전승과 이해를 도모한다.

 

아울러, 제주도(제1호, 해녀 어업), 통영‧거제(제8호, 견내량 돌미역 채취), 울진‧울릉(제9호, 돌곽 떼배 채취), 진도‧신안(제13호, 조간대 돌미역 채취) 등 미역을 채취하는 어업유산 간 연계를 통해 배우는 주민 역량 강화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현대적 활용: 어촌의 새로운 동력으로의 가치 제고'라는 목표를 위해 ‘창경바리어업’ 전용 브랜드 로고를 개발하여, 저작권‧상표 등록을 통해 미역 포장재 활용 등 상품 경쟁력과 소비자 접근성도 높여 나갈 계획이다.

 

무엇보다도, 심곡어촌체험휴양마을과 연계한 창경바리어업 체험, 바다부채길 탐방, 미역 요리 시식, 숙박 등 어업유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 투어 코스 개발은 핵심 추진 사항이다.

 

김홍규 강릉시장은 “오랜 세월 이어져온 창경바리어업이 사라지지 않고, 후손에게도 자랑스러운 유산으로 남을 수 있도록 하겠다.”며, “해양문화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어촌 경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