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포원(NEWSFOR1) 윤경덕 기자 | 춘천시가 지난 24일 국토교통부에 기업혁신파크 선도사업 통합개발계획(안)을 제출, 사업이 구체화 단계에 돌입했다.
기업혁신파크가 이날부터 국가 승인 절차에 공식 착수하면서 사업의 구조와 규모를 국토부가 본격 심사하는 단계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사업 추진의 안정성도 더욱 확고해졌다는 평가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25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브리핑을 열고 기업혁신파크 진행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이날 브리핑에는 기업혁신파크 사업의 앵커기업인 더존비즈온 김용찬 대표도 참석했다.
기업혁신파크는 지난해 3월 국토부 선도사업으로 선정된 이후 주민 의견 수렴, 기관 협의, 환경평가 준비 등 법적 절차를 밟아왔다. 이번 통합개발계획(안) 제출을 통해 중앙부처 협의 △보완‧검토 △국가위원회 심의 등 국가 차원의 종합 심사가 시작된다. 승인 절차가 완료되면 △사업구역 지정 △토지보상 착수 △기반시설 공사 등의 후속 절차를 밟는다. 시는 2026년 승인 완료, 2027년 착공, 2033년 준공이라는 목표로 단계별 로드맵을 설정했다.
이번 계획안 제출은 지난 9월 PFV 설립 이후 신속하게 진행된 성과로 관계기관 협의, 환경영향평가, 주민 의견 청취 등 필수 절차를 충실히 이행하며 절차적 투명성도 확실히 확보했다. 시는 내달 개최할 사업공청회와 환경영향평가 주민설명회 역시 시민 참여가 충분히 보장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 중이다.
‘춘천 기업혁신파크 조성사업’은 남산면 광판리 산 68번지 일원(363만㎡, 약 110만 평) 부지에 총사업비 약 1조 1,031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특히 IT·AI·정밀의료 등 첨단 산업 분야를 집중 유치해 춘천의 기존 바이오 산업 성공모델을 새로운 산업 생태계로 확산시킨다는 목표다. 첨단산업 입지 함께 주거, 교육, 의료, 문화, 상업‧업무 등 자족적 복합기능을 갖춰 판교를 뛰어넘는 첨단산업 클러스터 기업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앵커기업인 ㈜더존비즈온은 최근 지분 변동에도 불구하고 사업 추진 의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시는 더존비즈온이 보유한 정밀의료 및 생체데이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AI 의료서비스 등 미래전략산업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춘천시의 바이오산업 성공모델을 IT, AI, 정밀의료 분야로 확산시켜 지역 산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 시는 기업혁신파크의 성공을 뒷받침하기 위해 기회발전특구 지정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기업혁신파크가 지닌 산업적 가치를 온전히 실현하기 위해서는 특구 지정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특구로 지정되면 규제 혁신, 세제 지원, 투자 촉진 등 국가 차원의 특수 지원을 통해 산업 생태계 조성 속도가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시는 강원특별자치도와 협력해 특구 지정이 조속히 성과로 이어지도록 모든 역량을 투입할 계획이다.
육동한 시장은 “기업혁신파크사업은 국가 승인 절차에 돌입한 공식 사업인 만큼 사업의 추진 여부나 안정성에 대한 우려는 확실히 내려놔도 된다”며 “춘천의 미래산업 경쟁력과 청년 일자리, 더 편안한 생활 기반을 만들어갈 이 사업에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해 반드시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